티스토리 뷰

[기획공부 - 01. 제안 시작단계]

제가 제안요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s)를 꼼꼼히 훑어본 뒤 하는 가장 첫 번째 기획단계는

'사업(Project)의 히스토리 찾아보기'입니다.

 

 


 01-1. WHY? 

사업의 히스토리를 왜 알아야 할까?

사업이 완벽히 구상되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지금의 형태를 띠기까지의 과정을 알아봄으로써

사업의 변화 양상을 알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을 알게 된다면 제안 시 헛다리 짚는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헛다리 짚는 실수,  그거 제가 했습니다."

 

사업 배경을 간과한 과정을 예로 들어보았습니다.

 

가상의 프로젝트 '2020년 A수목원 전시공간 조성사업'의 히스토리

*저의 기획분야는 전시입니다.

A수목원의 일부 공간에 대한 리모델링 필요성은 2007년에 대두되어 2010년 B연못 조성이라는 프로젝트를 낳게 됩니다. 이후 A수목원 리모델링에 대한 다양한 마스터플랜이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여러 시민단체와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잡음이 발생하여 연못 조성은 결국 무산됩니다. 이후 전시공간이라는 이름으로 탈바꿈되어 2020년에 최종 공고됩니다.

이 사실을 기획 초반에 확인하지 못한 저는 연못과 전시를 통합한 제안을 기획 중이었고, 결국 며칠 뒤 지난 히스토리를 확인 후 제안서를 새로 쓰게 됩니다..

이러한 실수를 발견했을 때는 정말 허무하게 느껴지더군요....

 

그렇다면 나의 사업 배경 찾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01-2. HOW? 

사업 히스토리 찾는 방법은? 

 첫 번째 신문기사 찾아보기!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 중 하나는 너무나 당연하지만 문기사 확인입니다. 저의 경우 이 공고 속 공간 혹은 사업부지가 몇 년도부터 어떻게 운영되었는가? 어떤 식으로 언론에 거론되어 왔는가? 부정적인가? 등 시간을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때 많은 시간이 세이브되는 검색엔진 활용법을 알려드립니다!

 

 신문검색엔진 01. '네이버 뉴스 카테고리' 활용하기 

 [꿀팁 1] 검색 옵션 활용하기

네이버 뉴스 카테고리에 검색 옵션을 누르면 정렬, 기간, 영역, 유형, 언론사, 기자명을 구체적으로 설정 후 검색이 가능합니다.

정확한 옵션 설정으로 검색시간을 많이 세이브할 수 있습니다.

 

[꿀팁 2] 검색 옵션 고정하기!

카테고리 중 기간을 클릭하고 자신이 원하는 일자를 선택합니다. 이후 검색어 변경 후 재검색 시 옵션 유지 설정이 안 되어있다면 기간 설정을처음부터 해 주어야 합니다. 특정 옵션에서 지속적인 검색이 필요하다면 '옵션 유지' 필수로 해주는 것이 시간 세이브에 도움이 됩니다.

 

 신문검색엔진 02. 1900년대 신문 확인이 필요하다?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꿀팁 1] 1900년대 시간별, 신문사별 검색하기

1920년대부터 1999년까지 각 신문사의  신문 스캔본과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꿀팁 2] 상세검색을 통해 옵션을 선택하기

기간과 신문 그리고 카테고리를 설정하여 검색 시간을 세이브할 수 있습니다.

<뉴스 라이브러리 주소> 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Date.nhn

 

 신문검색엔진 03. 더 오래된 자료 확인이 필요할 땐?  국립중앙도서관! 

[꿀팁 1]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활용하기

웹페이지 카테고리 중 디지털 컬렉션 선택,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를 클릭합니다.

신문 검색을 선택하면 신문명, 일자 등을 선택 후 검색이 가능하며, 1880.01.01 ~ 1966.12.31 조회 가능할 정도로 정보가 방대한 것이 장점입니다.

 

[꿀팁 2] 그때 그당시 이슈를 다양한 방향으로 제공받기

신문 검색 밑 신문 트렌드 검색 시 키워드의 기사 건수 확인을 통해 그 당시 핫한 사건 등을 한눈에 알 수 있습니다.

신문 연대기의 경우 키워드에 해당하는 연도별 기사 건수와 기사를 한 눈에 볼 수 있습니다.

신문아카이브 -> 주제관계서비스

주제 관계 서비스에 경우 키워드와 연관된 키워드를 마인드맵 형식으로 제공합니다.

이외에도 국립중앙도서관은 국내 대부분의 장서, 데이터, 정보 등을 소장하고 있는 국가대표도서관이기 때문에 정보 검색에 활용도가 높습니다.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선 과거를 되짚어 보아야 합니다.

이 사업이 왜 이런 양상을 띄게 되었는지 원인을 파악의 중요성을 일깨운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댓글